조영남의 유유자적(悠悠自適)

분류 전체보기 1906

온천천(좌수영교-교대역) : 2025. 6. 29.

덥다... 더워도 너무 덥다집 구석에 가만이 앉아 전기료만 축내고 있기보다는이열치열로 한 번 부딪혀보기로 하고 과감히 길을 나선다^^ (명륜동에서 잠깐 볼 일을 보고 나서명륜동역-교대역-좌수영교(센텀)까지 갔다가 다시 빽을 해서교대역에서 지하철을 타고 집으로 오는 약 3시간 30분의 여정 중그중 일부만 핸드폰 영상으로 남겨본다)

국립 부산 승학산 치유의 숲 - 승학산 : 2025. 6. 27.

부산에는 치유의 숲이 두 군데나 있다2018년 영남권 최초로 부산 기장군 철마면에 '부산 치유의 숲'이 조성되었고2024년 11월에는 승학산 자락에 '국립 부산 승학산 치유의 숲'이 개장된 것이다6월 23일 철마의 부산 치유의 숲에 이어 오늘은 승학산 치유의 숲 답사에 나선다 10:26 당리역 3번 출구에서 사하구 2-1번 마을버스를 타고종점인 동원베네스트2차아파트에서 내린다 동원베네스트 1차와 2차 아파트 단지가 자리하고 있는 이곳은 옛 채석장이 있던 자리에 아파트가 들어서면서아파트 주변이 깎아지른 바위 암벽에 둘러싸인 형국이 되었다 그때문에 이곳을 영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천혜의 요새형 지형인 '헬름협곡'에 비유하기도 한다는 곳이다 공중에서 촬영한 아파트 단지 모습예전 오래전에 승..

장년산-아홉산-부산치유의 숲 : 2025. 6. 23.

가보지 않은 부산치유의 숲을 답사하기 위해 나섰지만 그냥 치유의 숲만 가보기에는 너무 싱거울 것 같아장년산과 아홉산 365m봉을 올랐다가 부산치유의 숲으로 내려가는 코스로 잡아 보았다 13:16범어사역 앞에서 2-3번 마을버스를 타고 35분간 걸려 철마삼거리 정류장에서 내린다직진해서 오면 10분도 채 걸리지 않을 거리를마을버스이다 보니 임기까지 빙 둘렀다가 오느라 시간이 꽤 걸린다 부산치유의 숲까지는 불과 1km거리이지만치유의 숲으로 바로 직행하지 않고 장년산 등산로 입구까지 왼쪽으로 400m정도 걸어가야 한다 도중에 장전구곡가 시비를 만난다 장전구곡가(長田九曲歌) 시비(詩碑) 장전구곡가(長田九曲歌)는 조선시개 말기 추파(秋波) 오기영(1837~1917) 선생이곰내재에서 홍류폭포를 거쳐 백길, ..

을숙도 한바퀴 : 2025. 6. 18

오늘은 58산우회 트래킹 코스를 개발할 겸 오랜만에 을숙도를 찾았다을숙도는 에덴공원과 함께 젊은 시절의 아련한 추억들이 깃들어 있는 추억의 장소다 현대미술관 관람과 야외 조각공원도 둘러보고쉬지않고 섬 북쪽과 남쪽을 오가면서 답사할 수 있는 웬간한 곳을 다 돌아보니 4시간이 걸렸다58산우회라면 섬 남쪽 중간에 있는 메모리얼파크에서 을숙교를 건너 발길을 돌린다면 시간이 적당하겠다 옛날의 을숙도 항공사진을숙도는 낙동강이 운반해온 토사가 하구에 퇴적되어 형성된 하중도(河中島)이다과거에는 폭이 좁은 샛강을 사이에 두고 북쪽에는 일웅도, 남쪽은 을숙도로 나뉘어 있었지만 퇴적으로 점점 가까워지다가 하구언 공사 때 샛강을 완전히 메워 두 섬이 합쳐졌고 이를 을숙도라 부르고 있다현재 하구언 도로 북쪽의 을숙도 문..

진도 지력산-뽀족봉 : 2025. 5. 29 부산알피니스트산악회

그동안 이런저런 사정으로 산악회를 따라 산행하기는 금년들어 처음이다대전의 '보만식계' 개별 등산을 혼자서 다녔고, 발목 부상으로 한동안 입산을 못하기도 하다가오랜만에 알피니스트 산악회와 함께 진도의 지력산-빼족산을 오르기로 하였다이 알피니스트 산악회도 얼마전 해체되고 사라진 한마음산악회처럼 전국의 지맥과 기맥 등 남들이 잘 찾지 않는 산들을 즐겨 찾아다니는 산악회다10년 넘게 단골로 다녔던 한마음산악회는 무슨 연유인지 금년 초 해체되어 버렸고그 산악회의 오랜 단골들은 지금은 대거 알피니스트 산악회로 옮겨와 전국의 산을 휩쓸고 다닌다 예정된 산행코스는와우삼거리 -와우저수지 -지력산 -지력재 -뽀족봉 -빼족산 -해산봉 -산림생태관리센터였지만 초반부터 개척산행을 한 덕분(?)인지 뽀족봉을 오르고 나니암..

대전 만인산(萬仞山 / 537m) : 2025. 5. 17. 나홀로

오늘로서 대전 '보만식계(보문산-만인산-식장산-계족산) 종주코스' 개별 답사를 마무리한다지난 2월 3일 보문산을 오르면서 눈길에 미끄러지며 발목에 금이가는 사고를 당한 뒤무려 3개월이 너머 지난 뒤에야 마무리를 하게 되는 셈이다발목 깁스를 풀고 재활치료를 마친 후 그간 집 뒷산인 금정산은 다섯 차례나 올랐지만오늘처럼 장거리 산행은 사고 이후 처음이다 만인산(萬仞山 537m)은 충남 금산군과 대전광역시 경계에 위치한 식장지맥 상의 산이다 산행코스 : 만인산공원 제3주차장 - 정기봉 - 태조 태실 - 만인산 - 만인루- 대전천 발원지 - 만인산자연휴양림 - 저수지 - 제3주차장 오전 10시 30분 대전역에서 501번 시내버스를 타고 만인산공원으로 간다사고를 당한 뒤 또 산에, 그것도 혼자서 간다면 자겁을..

김해 대성동고분군, 구산동고분군 : 2025. 4. 3.

2003년 9월 17일 사우디 리야드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가야고분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다함께 등재된 가야고분군 7군데는김해의 대성동 고분군을 위시하여  말이산 고분군 (함안),  옥전 고분군 (합천),  지산동 고분군 (고령), 송학동 고분군 (고성),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남원),  교동, 송현동 고분군 (창녕) 등이다함안의 말이산 고분군은,  2021년 7월 함안 아라가야 역사순례길 트래킹을 할 때 답사를 하였고오늘 가까운 김해의 대성동 고분군을 답사하러 길을 나선다수로왕릉과 수로왕비릉, 봉황동유적은 지난 2019년 4월 김해 가야유적 탐방 때 답사를 하였는지라오늘은 수릉원을 시작으로 대성동고분군을 답사하고 구산동고분군까지 답사를 할 예정이다  김해경전철 수로왕릉역에서 하차를 ..

윤공단, 정발장군 동상, 송상현 광장 : 2025. 3. 31

윤공단은 지하철 다대포항역에서 약300m 거리에 있다  다대포항역 3번 출구  저기 보이는 소나무숲이 윤공단이 있는 곳이다  윤공단 입구 : 부산 사하구 다대동 1234번지  윤공단(尹公壇)은 일본군과 싸우다가 순절한 다대첨사 윤흥신(尹興信)과함께 일본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한 군관민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설치한 제단이다 1592년 4월 14일 부산진성을 함락시킨 일본군은 그 날 바로 동래읍성과 다대진성을 공격하였다다대진성의 윤흥신은 이날 성을 지켰으나 다음날인 15일에는 항전 끝에 전사했으며많은 희생을 내고 성은 함락되었다  다대진성 결전도(多大鎭城 決戰圖)이 그림의 원본은 충렬사 기념관에 걸려 있다부산진을 공략한 왜군이 군사를 나누어 수륙으로 다대진을 침공하였는데다대첨사 휸흥신 공은 동생과 휘하 군민..

부산 충렬사, 전등사 : 2025. 3. 29 / 2025. 5. 19

부산에서 몇 십년을 살면서도 충렬사 답사는 이번이 처음이다부산에 산재한 소소한 유적지는 답사를 하면서도 정작 임란의 순국선열들을 모신 충렬사는 소홀하였다는 자책감을 가지고 답사에 임한다 깨끗하게 조성된 성역으로 들어서는 길충렬사(忠烈祠)는 임진왜란 때 부산지역에서 왜군과 싸우다 순절한 호국선열 93신위의 영령을 모신 사당으로 선열의 숭고한 뜻을 기리기 위한 산 교육장이자 호국충절의 요람지이다 충렬사는 1605년(선조 38) 동래부사 윤훤에 의해 동래읍성 남문 안에 충렬공 송상현(宋象賢)을 모신 사당 송공사(宋公祠)가 세워지고, 매년 제사를 지낸 것을 시작으로 한다1624년 선위사(宣慰使) 이민구의 청으로 ‘충렬사(忠烈祠)’라는 사액(賜額)이 내려졌으며 부산진성 전투 때 순절한 충장공 정발장군도 모시게 ..

동래 사직단, 사직동 석사 주산당 : 2025. 3. 22.

목발없이 걷기 연습 둘째 날이다오늘은 불과 4년 전에 복원된 동래 사직단(東萊 社稷壇)을 답사하기로 한다동래 사직단이 있었기에 지금의 사직동이라는 지명이 생겨났으니왕이 친히 제례를 올리는 서울의 사직단과는 비교가 되지 않겠지만부산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사직단의 복원이 어찌 반갑지 않을 수 있으랴대부분의 부산시민들은 물론 사직동에서 오래 살았다는 사람들조차도 잘 모르고 있을 것같은 동래 사직단을나도 '58마당 카페'에서  '지금은 노인'이 소개한 복원소식을 접하고서 호기심을 가지게 되었다내친김에 사직동의 옛 자연부락이었던 여고리(余古里)와 석사리(石社里)의 흔적들도 함께 답사를 할 것이다  동래 사직단은 지하철 3호선 사직역 4번 출구를 나와 사직운동장 쪽으로 조금 가다가.....  왼쪽의 언덕길을 올라가면..

우장춘 기념관 : 2025. 3. 21

우장춘 기념관 앞마당을 차지하고 있는 자유천(慈乳泉) 유적지 전경 지난 2월 3일 대전 보문산 산행 때 눈길에 미끌어지면서 발목을 접질리며왼쪽 발목 복숭뼈에 금이 가는 사고를 당해 한 달간을 깁스를 한 채 두문불출하였다깁스를 풀고도 목발에 의지하여 병원을 오가다가 어제부터 목발없이 걸어도 좋다는 의사의 처방이 떨어졌다해서 오늘은 걷는 연습도 할 겸 가까운 우장춘 기념관을 찾았다  우장춘(禹長春)기념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62번길 7 (온천동)씨없는 수박의 기초원리를 규명한 세계적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의 탄생 1백주년(1898년~1959년)을 맞아 박사가 생전 연구 활동을 펼친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2동 850-47번지에 건립하고 1999년 10월 21일 개관한 기념관이다  원예시험장을 수원으로 ..

위로가기